과학이야기/대중과학서

[내 책을 말한다] 블랙홀 교향곡

별아저씨의집 2009. 2. 6. 14:03
서울신문사에서 원고청탁이 들어왔습니다. 저자가 자기 책을 소개하는 '내 책을 말한다'라는 코너랍니다. 자기 책 얘기하는 것이 쑥스러워서, 출판사에서 소개글을 기고하면 좋겠다고 했더니 그보다는 저자의 글을 원한답니다. 얼마전 원고를 보냈는데 벌써 인터넷에 올라왔더군요.
  

어느 날 블랙홀이 내 삶의 중심에 불쑥 들어왔다. 지도교수가 떠나 방황하던 유학생 시절, 새 지도교수와 함께 블랙홀이 학위논문의 주제로 다가왔다. 오랫동안 천문학, 특히 블랙홀을 연구하면서 하고 싶은 얘기가 있었다. 박사학위를 마칠 때는 학위논문에 이런 감사의 문구도 실었다. 나처럼 천문학을 공부할 기회를 갖지 못한 많은 사람들에게 감사한다고, 이제는 그들에게 뭔가 갚아야 할 때가 된 것 같다고. 블랙홀의 무게를 재러 대형망원경이 있는 칠레 북부나 하와이에 갈 때면 경험했던 흥분과 떨림을 드러내 보고도 싶었다. 나는 소통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주변의 들쑤심도 있었지만 ‘나의’ 블랙홀 이야기를 해 보고 싶었다. 그렇게 ‘블랙홀 교향곡’(우종학 지음, 동녘사이언스 펴냄)을 냈다.

새로운 것을 볼 줄 아는 사람들은 삶을 풍요롭게 살찌울 능력을 갖는다. 보던 것만 보고 살면, 그저 살던 대로 살 수밖에 없다. 여행과 독서의 묘미가 거기에 있다. 우주는 넓고 볼 것은 많다. 보이지 않는 블랙홀은 그 중에서도 가장 볼 만한 구경거리가 아닐까? 누구나 한번쯤 들어 본 블랙홀. 하지만 블랙홀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독자들의 궁금증을 시원하게 풀어주는 책. 그것이 책의 목표였다.

지난 십여년간 천문학은 흥미진진하게 변해 왔다. 유명한 허블 우주 망원경을 비롯해서 찬드라 엑스레이 망원경, 스피처 자외선 망원경 등 미항공우주국 나사가 계획한 우주망원경 프로젝트들이 빛을 보았고 지상에는 주경 8~10m 급의 대형광학망원경이 건설되었다. 인류가 그동안 보지 못했던 새로운 우주의 얼굴이 드러났다. 관측기기의 혁명을 통해 천문학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는데 그 중에서도 손꼽히는 것은 거대 블랙홀에 대한 이해다.

이 책은 블랙홀에 대해 과학자들이 발견한 새로운 내용들, 실제 내 연구에 밑거름이 되는 따끈따끈한 내용까지 담고 있다. 십여년 전만 해도 ‘블랙홀’이라는 말보다는 ‘블랙홀 후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했다. 그러나 블랙홀에 대한 이해 없이는 우주를 이해할 수 없다고 할 만큼 블랙홀은 21세기 천문학의 주요한 주제로 떠올랐다. 이 책은 이론에서 출발하는 블랙홀 이야기가 아니라, 천문학자들이 발견한 현상들을 중심으로 풀어가는 블랙홀 이야기다. 그래서 책에는 사진이 많다.

과학이라면 왠지 두드러기가 나고 물리, 수학과는 담을 쌓은 사람들에게 블랙홀은 너무나 멀다. 어떻게 수학방정식과 복잡한 이론에 갇혀 있는 블랙홀을 해방시킬 수 있을까? 그것이 책을 쓰는 내내 가졌던 고민이었다.

대중과학서의 저자는 요리사다. 아무리 좋은 재료여도 맛있는 요리가 되지 않으면 외면받는다. 과학은 훌륭하지만 그것을 쉽게 풀어내지 않는다면 대중들에게는 쓴 약이나 다름없다. 이 책이 독자들이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친절한 블랙홀 이야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나의 바람이다. 판단은 독자의 몫이겠다.